Jung-Kwon Oh
Dept.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ublic of Korea

· 2021년 5월 ~ 현재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대외협력부장
· 2019년 8월 ~ 2021년 7월 :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전공, 전공주임
· 2017년 9월 ~ 2021년 8월 :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조교수
· 2012년 8월 ~ 2016년 7월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연구교수
· 2011년 6월 ~ 2012년 8월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ost- doctoral Research Fellow
· 2010년 6월 ~ 2011년 5월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캐나다 정부지원 PDRF program, Canadian Bureau for International Education),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 2010년 3월 ~ 2010년 5월 : 농업생명과학연구소, 연수연구원
· 2009년 3월 ~ 2010년 2월 : BK21 임산공학연구인력양성 사업팀, 연수연구원
- TEL: 02-880-4782 Fax: 02-873-2318
· 2021년 5월 ~ 현재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대외협력부장
· 2019년 8월 ~ 2021년 7월 :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전공, 전공주임
· 2017년 9월 ~ 2021년 8월 :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조교수
· 2012년 8월 ~ 2016년 7월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연구교수
· 2011년 6월 ~ 2012년 8월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ost- doctoral Research Fellow
· 2010년 6월 ~ 2011년 5월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캐나다 정부지원 PDRF program, Canadian Bureau for International Education),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 2010년 3월 ~ 2010년 5월 : 농업생명과학연구소, 연수연구원
· 2009년 3월 ~ 2010년 2월 : BK21 임산공학연구인력양성 사업팀, 연수연구원
HORNOR & AWARDS
· 2016년 : 한국목재공학회 학술상 수상
INVITED LECTURES
· 2023.04.28. 탄소중립과 목조건축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전 세미나)
· 2023.04.27. 공공건축물의 해외 목조하 정책 사례 및 시사점 (한국건축정책학회, 목조건축정책포럼)
· 2022.10.14. 목재를 구조재로 활용하는 새로운 공법 (녹색건축한마당)
· 2022.09.13. 목재비파괴 (목재문화포럼)
· 2021.09.10. 탄소중립시대와 목조건축 (한국목재공학회)
· 2019.11.21. 찾아가는 목재특강(동국대학교 건축학과)
· 2019.11.11. 찾아가는 목재특강(이화여자대학교 건축도시시스템공학전공)
· 2019.09.04. 찾아가는 목재특강(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2017.10.25. 해외 CLT 제조기술 동향 및 국내 적용방안, 국내 집성재, CLT 제조업체 현장간담회 (산림청)
· 2017.10.18. 한국형 CLT 개발 현황, 2017 인천 국제 도시재생 연합포럼
· 2016.02.10. Present situation of timber engineering in Korea, Faculty of Systems Science and Technology, Akita Prefectural University
· 2016.02.09. Present situation of timber engineering in Korea, Akita Institute of Wood Technology, Akita Prefectural University
· 2014.11.12 목조 문화재의 진단 기술, 전통문화대학교
Jung-Kwon Oh
Dept.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Republic of Korea
Tel: 02-880-4782 Fax: 02-873-2318 Email: jungoh@snu.ac.kr

· 2021년 5월 ~ 현재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대외협력부장
· 2019년 8월 ~ 2021년 7월 :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전공, 전공주임
· 2017년 9월 ~ 2021년 8월 :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조교수
· 2012년 8월 ~ 2016년 7월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연구교수
· 2011년 6월 ~ 2012년 8월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ost- doctoral Research Fellow
· 2010년 6월 ~ 2011년 5월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캐나다 정부지 원 PDRF program, Canadian Bureau for International Education), Post- doctoral Research Fellow
· 2010년 3월 ~ 2010년 5월 : 농업생명과학연구소, 연수연구원
· 2009년 3월 ~ 2010년 2월 : BK21 임산공학연구인력양성 사업팀, 연수연구원
· 2022년 3월 ~ 현재 : 한국목재공학회, 목조건축위원회 위원장
· 2020년 4월 ~ 현재 : 산림청, 목조건축서비스 자문단 자문위원
· 2020년 7월 ~ 현재 : 산림청, 목조이용위원회, 심의위원
· 2020년 1월 ~ 현재 : 한국목재공학회, 편집부위원장
· 2020년 1월 ~ 2021년 12월 : 한국목재공학회, 재무이사
· 2017년 9월 ~ 현재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겸무연구원
· 2017년 3월 ~ 현재 : 건축구조기준 목구조편 개정위원회, 집필위원
· 2017년 3월 ~ 현재 : 세계목조건축학술대회(WCTE), 운영위원
· 2017년 3월 ~ 2018년 8월 : 세계목조건축학술대회(WCTE), 학술위원
· 2016년 12월 ~ 현재 : 한국임업진흥원 제재목등급구분사 양성 프로그램, 전문강사
· 2023.04.27. 공공건축물의 해외 목조하 정책 사례 및 시사점 (한국건축정책학회, 목조건축정책포럼)
· 2022.10.14. 목재를 구조재로 활용하는 새로운 공법 (녹색건축한마당)
· 2022.09.13. 목재비파괴 (목재문화포럼)
· 2021.09.10. 탄소중립시대와 목조건축 (한국목재공학회)
· 2019.11.21. 찾아가는 목재특강(동국대학교 건축학과)
· 2019.11.11. 찾아가는 목재특강(이화여자대학교 건축도시시스템공학전공)
· 2019.09.04. 찾아가는 목재특강(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2017.10.25. 해외 CLT 제조기술 동향 및 국내 적용방안, 국내 집성재, CLT 제조업체 현장간담회 (산림청)
· 2017.10.18. 한국형 CLT 개발 현황, 2017 인천 국제 도시재생 연합포럼
· 2016.02.10. Present situation of timber engineering in Korea, Faculty of Systems Science and Technology, Akita Prefectural University
· 2016.02.09. Present situation of timber engineering in Korea, Akita Institute of Wood Technology, Akita Prefectural University
· 2014.11.12 목조 문화재의 진단 기술, 전통문화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