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 목구조 연구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Seoul National University, Timber Engineering Laboratory의 약자로 서울대학교 목구조 연구실을 뜻합니다.

 

주요 구조부를 목재로 설계‧시공하는 목조건축은 타구조재료에 비해 현저히 적은 탄소배출과 목재가 갖는 탄소저장 기능으로 인해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입니다.

목구조 연구실은 이러한 목조건축의 활성화를 위한 기술적 한계극복, 사회적 인식 개선, 제도 개선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구조학(Timber engineering)은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구조용재로 가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구조시스템을 설계/개발하는 학문입니다.

공학목재의 기계적 성능 평가에서부터 목구조의 구조성능, 내진, 진동, 내화, 음향, 단열 성능의 기본적인 이해와 관련 성능의 개선 그리고 새로운 공학목재의 개발, 목구조 설계방법에 대한

 연구를 포함합니다. 아울러, 보다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공학목재의 생산기술, 효율성 향상을 위한 시공기술 개발, 목조 건축물의 유지 보수에 대한 기술에 대한 연구를 포함합니다.

 

최근에는 Cross laminated timber (CLT)와 같은 새로운 공학목재의 개발과 가공기술 및 시공기술을 통하여, 효율성 및 경제성을 꾀하고 있으며, 철, 콘크리트와 같은 타 재료와의

이브리드화와 Off-site construction(OSC) 기반 건축부재 개발 그리고 차세대 건축시스템 개발을 통해 중고층 및 대경간 목조 실현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Carbon-neutral society

목조건축을 통해 탄소중립 사회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Tall timber building/OSC timber building

목조건축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

Fire safty of timber buildingent

화재에 안전한 목조건축 기술 개발

High performance wooden building component

목재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성능 공학목재 개발